<p></p><br /><br /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<br> <br>송찬욱 정치부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Q. 윤석열 당선인이 이르면 다음 주에 구성될 인수위원회에 인사검증팀을 구성하기로 했어요. 이게 예전 인수위엔 없었나요? <br> <br>과거 인수위원회에선 '검증을 강화하겠다'는 정도의 얘기만 있었지, 공식적인 인사검증팀을 꾸리지는 않았습니다. <br> <br>'인사가 만사다', 이런 얘기가 있잖아요? <br> <br>윤석열 당선인이 처음 검증팀을 구성하는 셈인데, 초반부터 인사 실패로 국정의 발목이 잡히는 것을 막기 위해 신경을 쓰고 있다는 뜻이 되겠죠.<br><br>인사검증팀은 어떤 일을 하나요? <br> <br>Q. 인사검증팀은 어떤 일을 하는지, 시청자가 궁금해하셨습니다. 검증팀, 어떻게 운영이 되는 걸까요? <br> <br>과거에는 주로 인사 검증을 담당하는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 등에 의뢰하는 방법으로 인사검증을 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곧 임기가 끝나는 청와대가 자기 일처럼 꼼꼼하게 하진 않겠죠. <br> <br>그래서 자체적인 검증팀을 꾸리는 건데요. <br> <br>윤석열 당선인 경선 캠프 때부터 네거티브 대응 등을 맡아왔던 부장검사 출신 주진우 변호사 등이 이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윤 당선인 주변에 법조인 출신 인력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이 검증을 하게 될 거고요. <br> <br>그리고 인사혁신처 등 인사 업무를 해온 공무원을 인수위에 파견받아 인사검증팀을 만들어서 윤석열 정부의 첫 총리와 장관을 맡게 될 인사들에 대한 인사 검증에 들어갈 예정입니다. <br> <br>Q. 인사검증을 하려면 자료가 필요하잖아요. 윤석열 당선인은 정부의 자료를 가지고 검증을 할 수 있게 된 거잖아요? <br> <br>윤석열 당선인에게는 다른 당선인들이 가지지 못한 무기 하나가 생긴 셈이죠. <br> <br>국가에서 관리하는 자료가 없다면 요직에 앉히려는 사람이 실토하지 않고서야 과거 비위를 알 수 없잖아요? <br><br>그런데 윤 당선인은 행정부, 사법부, 입법부의 인사를 담당하는 인사혁신처장과 법원행정처장, 국회사무총장 등에게 인사기록과 인사관리시스템 등의 열람이나 활용을 요청할 수 있게 됐습니다. <br><br>2017년 3월 조항이 신설됐는데, 문재인 대통령은 두 달 뒤 인수위 없이 곧바로 취임해서 적용 대상이 아니었습니다.<br> <br>그래서 윤 당선인이 정부의 인사자료를 가지고 인수위 때부터 인사를 할 수 있는 첫 당선인이 되는 것입니다. <br> <br>당시 국회는 "대통령 당선인이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인사 관련 자료와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"라며 "새 정부에 적합한 인사를 선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"이라고 개정 이유를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공무원 인사기록에는 성과 평가, 포상과 서훈, 징계와 형벌 등의 내용이 담겨있습니다. <br> <br>이런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윤 당선인이 인수위 초반부터 강하게 인사검증에 나서는 것입니다. <br><br>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"윤 당선인이 인재를 폭넓게 발탁할 것"이라며 "대한민국 인재풀이 33만 명이 있다. 기본적 분석과 검증이 있을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Q. 이렇게 인사에 신경 쓰는 것, 아무래도 거대 야당이 되는 민주당이 인사청문회 등을 벼르고 있기 때문 아니겠습니까? <br><br>더불어민주당은 현재 국회의원 전체 300석 가운데 과반을 훌쩍 넘는 172석을 차지하고 있는데요, <br> <br>벌써부터 강도 높은 검증을 벼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광재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, CBS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 <br>"국회라는 검증 절차가 굉장히 까다롭잖아요. 전반적으로 아마 총리와 장관 부분에서 과거와 다를 정도로 우리가 조국 교수 일을 겪으면서 국민들이 바라는 선이 굉장히 높아졌어요." <br> <br>윤석열 당선인은 우선 국무총리 후보자를 지명한 뒤에,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게 되는데요. <br> <br>총리 후보자 국회 청문 과정부터 삐끗할 경우 국정 동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반대로 철저한 검증으로 흠이 없고 능력 있는 인사를 내놓았는데도 민주당이 반대하면 오히려 새 정부 발목잡기라는 비판을 받게 되겠죠. <br> <br>Q. 과거에도 가장 기세가 좋은 인수위 때부터 인사 실패로 곤혹을 치른 사례가 꽤 있었죠? <br> <br>곧바로 취임을 한 문재인 대통령은 제외하고 최근 사례를 보면요. <br><br>박근혜 전 대통령 인수위 시절, 김용준 인수위원장이 첫 국무총리로 지명됐는데 부동산 투기와 아들 병역 의혹 등으로 지명 닷새 만에 사퇴하는 일이 있었습니다.<br><br>당시 인사 보안을 중요시하던 박 전 대통령이 청와대에 검증 협조를 요청하지도 않고 자체 검증에만 의존하다가 벌어진 일이었습니다. <br><br>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에도 인수위 시절 이춘호 여성부 장관 후보자가, 취임 직후 남주홍 통일부, 박은경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<br>각종 의혹으로 잇따라 사퇴했습니다.<br> <br>이 같은 일이 윤석열 당선인에게도 되풀이될지, 초반 인사 실패의 역사를 끊을지 주목됩니다. <br> <br>Q. 이르면 내일 인수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 인선이 발표될 예정이니까, 이 얘기도 잠깐 해보죠. 안철수 인수위원장 카드가 , 유력해 보였는데 막판 진통이 있는 건가요? <br> <br>일단 윤석열 당선인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단일화 당시 공동선언문을 들어보죠. <br> <br>[안철수 / 국민의당 대표(지난 3일)] <br>"국정운영을 함께 해 나가겠습니다. 인수위원회 구성부터 공동정부 구성까지 함께 협의하며 역사와 국민의 뜻에 부응할 것입니다." <br><br>단순히 안철수 대표가 인수위원장을 맡는다는 것을 넘어서 인수위를 어떻게 구성하느냐도 함께 협의한다고 돼 있습니다. <br> <br>안 대표 측 인사들이 인수위에 들어간다는 건데요. <br> <br>당선인 집무실이 있는 통의동 금감원연수원에 들어가는 기획조정 등 핵심 분과에 안 대표 측이 들어갈지 여부를 두고 막판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. <br> <br>이번 인수위 멤버가 앞으로 공동정부까지 함께할 인사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윤 당선인 측도 고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